Published on

Derivation of Kirschmer's head loss formula and inclined pipe head loss formula

Kirschmer의 손실수두 공식의 도출 과정과 경사 파이프에서의 손실수두 공식

Kirschmer의 손실수두 공식은 유체가 파이프를 흐를 때 발생하는 마찰 손실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식이다.

1. Kirschmer 손실수두 공식의 도출 과정

Kirschmer의 손실수두 공식은 Darcy-Weisbach 방정식을 기반으로 도출되었다. Darcy-Weisbach 방정식은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압력 손실을 계산하는 기본적인 공식이다.

ΔP=fLDρv22\Delta P = f \cdot \frac{L}{D} \cdot \frac{\rho v^2}{2}

여기서:

  • ΔP\Delta P: 압력 손실
  • ff: 마찰 계수
  • LL: 파이프의 길이
  • DD: 파이프의 직경
  • ρ\rho: 유체의 밀도
  • vv: 유속

이제 압력 손실을 수두 손실로 변환하려면, 다음과 같은 변환 공식을 사용하면 된다.

Δh=ΔPρg\Delta h = \frac{\Delta P}{\rho g}

여기서 gg는 중력 가속도이다. 이 변환을 적용하면 압력 손실이 수두 손실로 바뀌게 되며, 그 결과 Kirschmer의 손실수두 공식을 도출할 수 있다.

hl=fLv22gDh_l = \frac{f L v^2}{2 g D}

이 공식은 수평 파이프에서 유체의 흐름에 의한 마찰 손실을 계산하는 기본적인 형태이다.

2. 경사 파이프에서의 손실수두 공식

Kirschmer의 손실수두 공식은 경사 파이프에서 유체의 흐름을 고려할 때, 경사각 α\alpha를 추가하여 마찰 손실을 보정해야 한다. 경사 파이프에서는 중력과 유체의 흐름이 서로 결합되어 경사각에 따라 손실수두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hl=Csinα(tb)43V22gh_l = C \sin \alpha \left( \frac{t}{b} \right)^{\frac{4}{3}} \cdot \frac{V^2}{2g}

여기서:

  • hlh_l: 손실수두 (m)
  • CC: 경험적 계수 (실험적 데이터를 통해 결정)
  • α\alpha: 파이프의 경사각 (rad)
  • tt: 파이프의 두께 (m)
  • bb: 파이프의 반지름 (m)
  • VV: 유속 (m/s)
  • gg: 중력 가속도 (9.81 m/s²)

공식의 보완 설명

위 공식은 경사 파이프에서의 마찰 손실을 구하는 데 사용되며, 실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출되었다. 여러 실험에서 파이프의 기울기, 유속, 두께, 반지름 등을 변화시키며 손실수두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모델링한 결과인 셈이다.

  • 경험적 계수 CC: CC는 파이프 재질, 유체의 성질, 그리고 흐름 특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값이다. 이는 파이프가 마찰과 충돌로 인한 손실을 겪는 정도를 나타내며,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통해 실험적으로 얻어진다.

  • 기본식과 경사식의 연결: 위의 수평 파이프에서의 기본식과 마찬가지로, 경사 파이프에서도 Darcy-Weisbach 방정식이 기초로 사용된다. 하지만 경사 파이프에서는 중력에 의한 추가 손실이 존재하므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경사각 α\alpha가 추가되어, 중력과 유체 흐름 방향의 결합이 반영된다. 즉, 경사각 α\alpha가 커질수록 유체의 흐름 방향과 중력 방향이 더 일치하게 되어 손실수두가 증가하므로, 이를 반영하기 위해 sinα\sin \alpha를 공식에 포함하는 것이다.

  • 두께와 반지름의 비율 (tb)43\left(\frac{t}{b}\right)^{\frac{4}{3}}: 파이프의 두께와 반지름의 비율은 마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반지름이 작을수록 마찰이 커지며 유체가 흐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 비율을 사용하여 손실수두를 보정한다. 특히 이 비율은 특수한 조건에서 마찰 손실에 더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다.

  • 유속 VV: 유속이 커질수록 마찰 손실이 급격히 증가하며, 이는 유속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V22g\frac{V^2}{2g} 형태로 나타나며, 파이프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보다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